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24절기 정리표 – 날짜와 의미 한눈에 보기

by 김시루맘 2025. 7. 11.

    [ 목차 ]

우리나라에는 사계절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보여주는 24절기가 있습니다. 이 절기들은 태양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나뉘며, 농사 시기뿐 아니라 일상생활에도 큰 영향을 주죠.

오늘은 2025년의 24절기 날짜와 각각의 의미를 정리해서 보여드릴게요. 절기를 알고 있으면 계절 변화에 맞춘 생활 계획이나 건강 관리에도 훨씬 유리하답니다. 계절 감각을 회복하고 싶은 분들, 전통적인 자연 달력을 참고하고 싶으신 분들 모두에게 유익한 정보가 될 거예요.

2025년 24절기 정리표 – 날짜와 의미 한눈에 보기 (이미지 챗지피티)
2025년 24절기 정리표 – 날짜와 의미 한눈에 보기 (이미지 챗지피티)

 

 

24절기의 개념과 유래

24절기는 태양의 위치를 기준으로 1년을 24등분하여 구분한 것입니다. 절기마다 태양이 움직이는 황경(黃經)이 15도씩 증가하며, 이를 기준으로 계절의 변화를 나타내요.

  • 양력 기준으로 매년 비슷한 날짜에 절기가 돌아오지만, 해마다 1일 정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농경사회에서는 절기를 기준으로 파종, 수확, 김매기 등의 농사 일정을 조율했습니다.

2025년 24절기 날짜 & 의미 정리

순번 절기 날짜 의미
1 입춘 2월 3일 봄의 시작
2 우수 2월 18일 눈이 녹고 봄비가 내림
3 경칩 3월 5일 동면하던 개구리가 깨어남
4 춘분 3월 20일 밤과 낮의 길이가 같아짐
5 청명 4월 4일 하늘이 맑아지고 농사 시작
6 곡우 4월 20일 곡식에 필요한 비가 내림
7 입하 5월 5일 여름의 시작
8 소만 5월 20일 만물이 생장하는 시기
9 망종 6월 5일 보리 수확, 모내기 시작
10 하지 6월 21일 일 년 중 낮이 가장 김
11 소서 7월 7일 작은 더위 시작
12 대서 7월 22일 1년 중 가장 무더운 시기
13 입추 8월 7일 가을의 시작
14 처서 8월 23일 더위가 물러가고 서늘해짐
15 백로 9월 7일 이슬이 내리기 시작
16 추분 9월 22일 밤과 낮의 길이가 같아짐
17 한로 10월 8일 찬 이슬이 맺히기 시작
18 상강 10월 23일 서리가 내리기 시작
19 입동 11월 7일 겨울의 시작
20 소설 11월 22일 첫 눈이 내리기 시작
21 대설 12월 7일 큰 눈이 내릴 시기
22 동지 12월 21일 밤이 가장 긴 날
23 소한 1월 6일 작은 추위
24 대한 1월 20일 일년 중 가장 추운 절기

절기를 알면 무엇이 좋을까?

24절기는 단순한 농사 달력 그 이상이에요. 계절에 따른 자연의 변화, 건강 관리, 음식 재료 선택, 심지어 마음가짐까지 달라지게 하는 지표가 됩니다.

  • 계절 음식, 제철 재료를 활용한 건강 식단 구성
  • 날씨 변화에 맞춘 의복과 실내 환경 조절
  • 계절 운동과 생활 습관의 리듬감 유지

 

 

 

오늘은 2025년의 24절기를 날짜와 함께 정리해보았습니다. 절기를 활용하면 계절의 흐름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고, 전통과 현대 생활을 자연스럽게 연결할 수 있어요. 다음 글에서는 절기에 따른 건강관리법이나 절기 음식에 대해 더 자세히 소개해드릴게요. 기대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