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소득 하위 90% 기준 어떻게 확인할까?, 건강보험료 기준 가구별 예시

by 김시루맘 2025. 7. 8.

    [ 목차 ]

정부가 각종 지원금, 소비쿠폰, 긴급재난지원금을 지급할 때 자주 등장하는 기준 중 하나가 바로 ‘소득 하위 90%’입니다. 특히 이번 2025년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지급에서도 소득 상위 10%를 제외한 하위 90% 국민이 대상이 되면서, 많은 분들이 "나는 해당될까?" 궁금해하고 계실 거예요.

 

이번 글에서는 소득 하위 90% 기준이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 확인 방법은 무엇인지, 그리고 건강보험료 기준표와 가구별 예시까지 모두 정리해드릴게요.

소득 하위 90% 기준 어떻게 확인할까? (이미지 챗지피티)
소득 하위 90% 기준 어떻게 확인할까? (이미지 챗지피티)

 

 

‘소득 하위 90%’란 정확히 무엇인가요?

‘소득 하위 90%’는 전체 국민을 소득순으로 나열했을 때 상위 10%를 제외한 나머지 90%에 해당하는 사람을 의미해요. 즉, 상위 10%의 고소득자를 제외한 대부분의 국민이 포함되며, 중산층 이하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정부는 이 기준을 적용할 때 건강보험료 납부액을 가장 많이 활용해요. 이유는 따로 소득신고를 하지 않아도 거의 모든 국민이 건강보험료를 내고 있기 때문에 간편하고 객관적인 기준이 될 수 있기 때문이에요.

2025년 소득 하위 90% 건강보험료 기준

보건복지부는 건강보험료 납부액을 기준으로 소득구간을 나누는데요, 아래는 2025년 기준 소득 하위 90% 커트라인 건강보험료</strong입니다. 이보다 낮은 납부액이라면 소득 하위 90%에 해당해요.

가구원 수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혼합가입자
1인 123,000원 106,000원 125,000원
2인 203,000원 215,000원 208,000원
3인 263,000원 274,000원 270,000원
4인 321,000원 337,000원 330,000원
5인 374,000원 395,000원 388,000원

예를 들어 4인 가구의 직장가입자 가정이라면, 건강보험료가 32만 1천 원 이하면 소득 하위 90%에 해당합니다.

내가 속한 건강보험료는 어떻게 확인하나요?

자신의 건강보험료는 아래 방법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어요.

  •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www.nhis.or.kr) 로그인 → 개인정보 조회 → 보험료 조회
  • 모바일 앱 ‘The건강보험’ 설치 후 로그인 → 납부 내역 확인
  • 국민비서 ‘구삐’ 앱 또는 카카오톡, 네이버 알림톡 수신 시 자동 확인 가능

내 건강보험료 확인하러 가기

 

확인된 납부 금액이 위 표보다 낮다면, 소득 하위 90%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어요.

 

 

소득 기준 외의 예외 조건은?

정부 지원금 지급 시, 소득 하위 90% 기준 외에도 ‘금융자산’이 일정 금액 이상일 경우 제외되는 경우가 있어요. 예를 들어, 고액 자산가이지만 건강보험료만 낮게 책정된 경우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또한, 일부 사업자는 소득 산정 시 소득 기준 초과로 탈락할 수 있으므로 건강보험료만으로 무조건 판단하지 않는 것도 중요해요.

 

 

정부의 각종 복지 정책에 따라 자주 활용되는 ‘소득 하위 90%’ 기준은, 내 건강보험료만 확인해도 쉽게 판단할 수 있어요. 나와 가족이 지원금 대상에 포함되는지 궁금하다면 지금 바로 보험료를 조회해보세요.

다음 글에서는 중위소득 100%, 150%, 200% 기준표를 연도별로 비교해드릴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