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
정부가 각종 지원금, 소비쿠폰, 긴급재난지원금을 지급할 때 자주 등장하는 기준 중 하나가 바로 ‘소득 하위 90%’입니다. 특히 이번 2025년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지급에서도 소득 상위 10%를 제외한 하위 90% 국민이 대상이 되면서, 많은 분들이 "나는 해당될까?" 궁금해하고 계실 거예요.
이번 글에서는 소득 하위 90% 기준이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 확인 방법은 무엇인지, 그리고 건강보험료 기준표와 가구별 예시까지 모두 정리해드릴게요.
‘소득 하위 90%’란 정확히 무엇인가요?
‘소득 하위 90%’는 전체 국민을 소득순으로 나열했을 때 상위 10%를 제외한 나머지 90%에 해당하는 사람을 의미해요. 즉, 상위 10%의 고소득자를 제외한 대부분의 국민이 포함되며, 중산층 이하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정부는 이 기준을 적용할 때 건강보험료 납부액을 가장 많이 활용해요. 이유는 따로 소득신고를 하지 않아도 거의 모든 국민이 건강보험료를 내고 있기 때문에 간편하고 객관적인 기준이 될 수 있기 때문이에요.
2025년 소득 하위 90% 건강보험료 기준
보건복지부는 건강보험료 납부액을 기준으로 소득구간을 나누는데요, 아래는 2025년 기준 소득 하위 90% 커트라인 건강보험료</strong입니다. 이보다 낮은 납부액이라면 소득 하위 90%에 해당해요.
가구원 수 | 직장가입자 | 지역가입자 | 혼합가입자 |
---|---|---|---|
1인 | 123,000원 | 106,000원 | 125,000원 |
2인 | 203,000원 | 215,000원 | 208,000원 |
3인 | 263,000원 | 274,000원 | 270,000원 |
4인 | 321,000원 | 337,000원 | 330,000원 |
5인 | 374,000원 | 395,000원 | 388,000원 |
예를 들어 4인 가구의 직장가입자 가정이라면, 건강보험료가 32만 1천 원 이하면 소득 하위 90%에 해당합니다.
내가 속한 건강보험료는 어떻게 확인하나요?
자신의 건강보험료는 아래 방법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어요.
-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www.nhis.or.kr) 로그인 → 개인정보 조회 → 보험료 조회
- 모바일 앱 ‘The건강보험’ 설치 후 로그인 → 납부 내역 확인
- 국민비서 ‘구삐’ 앱 또는 카카오톡, 네이버 알림톡 수신 시 자동 확인 가능
확인된 납부 금액이 위 표보다 낮다면, 소득 하위 90%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어요.
소득 기준 외의 예외 조건은?
정부 지원금 지급 시, 소득 하위 90% 기준 외에도 ‘금융자산’이 일정 금액 이상일 경우 제외되는 경우가 있어요. 예를 들어, 고액 자산가이지만 건강보험료만 낮게 책정된 경우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또한, 일부 사업자는 소득 산정 시 소득 기준 초과로 탈락할 수 있으므로 건강보험료만으로 무조건 판단하지 않는 것도 중요해요.
정부의 각종 복지 정책에 따라 자주 활용되는 ‘소득 하위 90%’ 기준은, 내 건강보험료만 확인해도 쉽게 판단할 수 있어요. 나와 가족이 지원금 대상에 포함되는지 궁금하다면 지금 바로 보험료를 조회해보세요.
다음 글에서는 중위소득 100%, 150%, 200% 기준표를 연도별로 비교해드릴게요.